교육과 공부에 대한 명언 107가지 모음
• 학문은 땅과 같아서 아주 조금만 소유할 수 있을 뿐이다.
<볼테르,「고찰과 소견」,1694~1778>
• 학교의 문을 열면 옥문이 닫혀진다.
<빅토르위고,1802~1885>
• 학사는 배우는 사람이고, 박사는 배운 것을 잊는 사람이다.
<퓌르티에르,「부르즈와 소설」,1619~1688>
관심이 없으실 수도 있겠지만, 기대를 저버리지 않을 꿀 정보, 생활 정보들이 모여있는 블로그에요! 클릭하시면 후회 안하실걸요?
생활에 도움되는 정보 모음
알아두면 쓸모있는 정책 이야기 알아두면 돈되는 정보 알아두면 우리 아이 잘 교육할 수 있는 정책 이야기
policyzip.tistory.com
• 가르치는 데는 기술이 많다.
<맹자,BC 372~BC 289>
• 윤리가 학문의 북극성이 되어야 한다.
<슈발리에드부플레,「사유와 단편들」,1738~1815>
• 교육은 국가를 만들지는 못하지만, 교육 없는 국가는 멸망을 면치 못한다.
<루즈벨트,1882~1945>
• 교육은 기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, 사람을 만드는 데 있다.
<루소,1712~1778>
• 교육은 인간의 성질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다. 다만 이를 잘 보수하는 것이다.
<아리스토텔레스,BC 384~BC 322>
• 교육을 받지 않는 것은 태어나지 않으니만 못하다.
왜냐하면 무식은 불행의 근원이기 때문이다.
<플라톤,1754~1824>
• 학문을 단념하시오, 그러면 고통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오.
<노자,「도덕경」,BC 601~미상>
• 학문은 오직 보편자에 관한 것이다.
<아리스토텔레스,「형이상학」,BC 384~BC 322>
• 양심이 없는 학문은 영혼의 폐허일 뿐이다.
<라블레,「제2의 서:팡타그뤼엘」,1494~1553>
• 그 지혜는 따를 수 있어도, 그 우직함은 따르지 못한다.
<공자,「논어」,BC 551~BC 479>
• 나라의 기초는 소년을 교육하는 데 있다.
<디오게네스,BC 400~BC 323>
• 학문에 대한 사랑과 돈에 대한 사랑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.
<G.허버트,「명궁」,1593~1633>
• 우리는 현재의 학문만을 아는 학자라 할 수 있다.
<몽테뉴,「수상록」,1533~1592>
• 너의 눈꺼풀이 닫혀 있지 않게 하라.
<「구약」>
•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묻고, 신중히 생각하고, 명백히 깨치고, 지그시 실행하라.
<자사,「중용」,BC 492~ BC 431>
• 대장은 졸공을 위해서 먹과 줄을 바꾸지 않는다.
<맹자,BC 372~BC 289>
• 대천재를 발견하는 것은 쉽다. 그러나 원만한 사람을 발견하기는 오히려 어렵다.
<에머슨,1803~1882>
• 독서 백편 뜻이 절로 통한다.
<어환,「위략」,미상~미상>
• 독서 삼도
<주자,1130~1200>
• 독서상우
<맹자,BC 372~BC 289>
• 독서에 심해를 바라지 않는다.
<도연명,「 오류선생」,AD 365~ AD 427>
• 학문은 우리 무지의 넓이를 가늠하는 데에 도움을 줄 뿐이다.
<라므네,「무관심에 관한 시론」,1782~1854>
• 많이 배우면 몸이 지친다.
<「구약」>
• 칼보다 펜이 더 잔인할 수 있다.
<로버트버턴,「우울의 해부」,1577~1640>
• 카이사르는, 그의 펜이 그의 칼을 돕지 않았더라면
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을 것이다.
<헨리본,「토마스 보들리의 도서관」,1622~1695>
• 칼이 펜을 무디게 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고, 등불이 갈을 무디게 한 적도 없었다.
<세르반테스,「돈키호테」,1547~1616>
• 나는 것이 새에게 당연하듯이 추론은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일이다.
<퀸틸리아누스,「웅변교수론」,35~100>
• 특은을 받은 영혼들만이 바르게 추론할 수 있다.
<데모크리토스,「황금문장」,BC 460~BC 370>
• 사람에는 고하가 없고, 마음에는 고하가 있다.
<「학우초」>
• 나쁜 책은 개선의 여지가 전혀 없기 때문에 정말 나쁘다.
<Th.풀러,「금언집」,1654~1734>
• 사람은 살쪘다고 귀하지 않다. 지가 있음으로써 귀한 것이로다.
<「실어교」>
• 사람이 생후 삼개월간에 깨치는 것은
성장 후 대학에서 삼년간 깨치는 분량보다 많다.
<장파울,1763~1825>
• 책은 절대 배신하지 않는 친구이다.
<데바로,「소나타」,1599~1673>
• 상지와 하우는 바꿀 수 없다.
<공자,「논어」,BC 551~BC 479>
• 책 속의 왕자는 자신의 의무를 잘 모른다.
<코르네유,「르 시드」,1606~1684>
• 책보다 사람들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.
<라로슈푸코,「성찰 또는 도덕적 격언과 잠언」,1613~1680>
• 새 책들의 가장 큰 단점은 옛 책들을 읽지 못하게 방해한다는 것이다.
<조셉주베르,「사유,잠언,에세이」,1754~1824>
• 선이 쌓이면 습성이 된다.
<방현령 , 이연수 등,「진서」,579~648>
• 가장 영적인 사회는 재단사가 아닌 제본공이 옷을 만들어주는 사회이다.
<장파울,「가난한 변호사 지벤케스」,1763~1825>
• 소경에게 어느 길로 가느냐고 묻지 말라.
<「신약」>
• 한 가지에 관하여 전부 아는 것보다 모든 것을 조금씩 아는 것이 낫다.
<파스칼,「팡세」,1623~1662>
• 습관은 어릴 때 이룬 것이 가장 완전하다.
<베이컨,1561~1626>
•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다.
<워즈워드,1770~1850>
• 우리가 무지하다는 것을 의식하는 것은 지식을 향해 한 걸음 크게 내딛는 것이다.
<B.디즈레일리,「시빌」,1804~1881>
• 아이들과 놀며 즐길 수 있는 사람만이 교육자가 될 권리가 있다.
<스토우부인,1811~1896>
•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의 거울이다.
<스펜셔,1820~1903>
• 아침이 그 날을 나타내듯이, 유년은 그의 성년을 나타낸다.
<밀턴,1608~1674>
• 어떠한 교육도 역경 만한 것이 없다.
<디즈레일리,1804~1881>
• 어릴 적 스승이 그 아이의 운명을 좌우한다.
<「아라비안나이트」>
• 무지는 정신적 결함이 아니며, 지식은 천재의 증거가 아니다.
<보브나르그,「성찰과 잠언」,1715~1747>
• 한 사람을 그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서는 안 되고,
그가 알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.
<보브나르그,「성찰과 잠언」,1715~1747>
• 두꺼운 책은 커다란 악이다.
<칼리마코스,「단편들」,BC 305~BC 240>
• 지성이란 열린 영혼을 갖는 것이다.
<Ch.부르디녜,「거장 피에르 페푀의 전설」,15??~15??>
• 최고의 주권을 만드는 것은 어깨의 넓이가 아니다.
어디서나 최고의 권위자는 바로 지성이다.
<소포클레스,「아이아스」,BC 496~ BC 406>
• 위좌하여 스승을 향하고, 안색에 부끄러움을 갖지 말라.
<관중,「관자」,BC 720~BC 645>
• 인생은 글을 아는 것이 우환의 시초로다.
<소동파,1037~1037>
• 인을 당하여서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는다.
<공자,「논어」,BC 551~BC 479>
• 자식을 바꿔 가르친다.
<맹자,BC 372~BC 289>
• 자식을 키워 가르치지 않음은 아버지의 잘못이고,
가르쳐서 엄하지 않은 것은 스승의 태만이며,
아버지 가르치고 스승이 엄한데 학문을 이루지 못함은 자신의 죄다.
<사마온공,1019~1086>
• 대개의 경우, 가르치는 자의 권위가 배우려고 하는 자를 방해한다.
<몽테뉴,「수상록」,1533~1592>
• 재능이 없어도 인격은 갖춰야 한다 .
<하이네,1797~1856>
• 엄청난 재능이 있다는 것은 엄청난 부담이다.
<르냐르,「도박자」,1655~1710>
• 제자는 그 스승보다 낫지 못하다 .
<「신약」>
• 이해력이 뛰어난 자에게는 말 한마디면 된다.
<플라우투스,「페르시아 사람」,BC 254~BC 184>
• 종교 없는 교육은 약은 악마를 만들 뿐
<웰링턴,1769~1852>
• 좋은 교육을 자손에게 남기는 것은 최대의 유산이다.
<토마스스콧트,1842~1870>
• 늘 지혜로운 사람은 없다.
<대플리니우스,「박물지」, AD 23~AD 79>
• 가장 지혜로운 자는 자신이 지혜롭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.
<부알로,「풍자시집」,1636~1711>
•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함은 즐거움의 셋째다.
<맹자,BC 372~BC 289>
• 태어날 때 이를 아는 자는 상이며, 배워 이를 아는 자는 다음이고,
고생 끝에 이를 아는 자는 그 다음이고, 고생해도 깨닫지 못하는 자를 하치로 한다.
<공자,BC 551~BC 479>
• 배불리 먹고 따뜻이 입고 편안히 있을 뿐 교육하지 않으면 금수에 가깝다.
<맹자,BC 372~BC 289>
• 한 사람의 양모는 백 사람의 교사와 맞먹는다.
<에디슨,1847~1931>
• 허로 가서 실을 얻어 돌아오다.
<장자,BC 369~ BC 289>
• 이발사 머리는 다른 이발사가 깎아준다.
<앙투안우댕,「프랑스식 호기심」,1741~1828>
• 제복에 맞는 사람이 된다.
<나폴레옹1세,「금언과 성찰」,1769~1821>
• 사제와 법관들이 옷을 완전히 벗는 일은 절대로 없다.
<발자크,「금언과 성찰」,1799~1850>
• 석공 자질이 있으면 석공이 되어야 한다.
<부알로,「시학」,1636~1711>
• 공부에 싫증은 존재하지 않는다.
<에라스무스,1466~1536>
• 공부의 보상은 이해한다는 것이다.
<「탈무드」>
• 게에게 똑바로 걷기를 가르칠 수 없다.
<아리스토파네스,「평화」,BC445~BC385>
• 고슴도치의 털을 윤기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없다.
<아리스토파네스,「평화」,BC445~BC385>
• 기질은 갈퀴로 쫓아내도, 달려서 되돌아온다.
<호라티우스,「서한집」, BC 65~BC 8>
• 여우는 털을 바꿀 수는 있어도, 본성을 바꾸지는 못한다.
<수에토니우스,「열두 명의 카이사르」,69~126>
• 쇠가 뜨거울 때 버려야 한다.
<플라우투스,「카르타고 사람」,BC 254~BC 184>
• 모든 나무로 미네르바 상을 만들 수는 없다.
<에라스무스,1466~1536>
• 불운은 재능의 산파이다 .
<나폴레옹1세,1769~1821>
• 낟알 없는 이삭이 고개를 높이 든다.
<리히텐베르크,1742~1799>
• 매를 잘 맞지 않는 아이는 잘 자라지 못한다.
<메난드로스,「단편집」,BC 342~BC 291>
• 가르치는 것은 두 번 배우는 일이다.
<조셉 주베르,1754~1824>
• 교양은 배운 이들에게 또 다른 태양이다.
<헤라클레이토스,BC 544~BC 484>
• 찰흙은 먼저 반죽이 된 후에야 비로소 빚어질 흙이 된다.
<에라스무스,1466~1536>
• 훌륭한 삶이 최상의 설교이다.
<풀러,1810~1850>
• 지나치게 토론하려다 진리를 잃고 만다.
<푸블릴리우스시루스,「격언집」,BC 85~BC 43>
• 토론은 반대를 일깨우고 모든 것은 의심으로 끝난다.
<자비에르드메스트르,「내 방 여행」,1763~1852>
• 토론의 목적은 승리하는 데에 있지 않고 더 나아지는 데에 있다.
<조셉주베르,「사유,잠언,에세이」,1754~1824>
• 교훈이 없는 우화는 깰 가치가 없는 속이 텅 빈 호두와 같다.
<J.H.유잉,「성찰」,1841~1885>
• 단순한 도덕론은 지루함을 주지만, 우화는 이야기와 함께 교훈을 준다.
<라퐁텐,「우화」,1621~1695>
• 무엇을 모르느냐가 아니라, 무엇을 알고 있으냐로 사람을 판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.
<보브나르그,1715~1747>
• 독서는 풍성한 사람을, 담화는 재치 있는 사람을,
글을 쓰는 일은 정확한 사람을 만든다.
<프랜시스 베이컨,1561~1626>
• 이튿날은 전날의 교훈을 배운다.
<시루스,BC 85~BC 43>
• 우리에게 훌륭한 교훈은 많지만 스승은 별로 없다.
<보브나르그,1715~1747>
• 자신이 모르는 것을 욕망할 수 없다.
<오비디우스,「사랑의 기술」,BC 43~ AD 17>
• 우리가 가장 믿을 수 있는 보호자는 자신의 재능이다.
<보브나르그,1715~1747>
• 안목도 지성만큼이나 길러지는 것이다.
<발타자르그라시안,「지혜의 기술」,1601~1658>
• 좋은 안목은 기질보다는 판단력에서 나오는 것이다.
<라로슈푸코,「성찰 또는 도덕적 격언과 잠언」,1613~1680>
• 안목은 세련된 양식이다.
<M.J.셰니에,「이성」,1764~1811>
• 안목은 정신의 촉각이다.
<슈발리에드부플레,「사유와 단편들」,1738~1815>
• 인간의 눈은 실패하고서야 비로소 뜨이게 되는 것이다.
<체호프,1860~1904>
• 하루 하루 새로우며, 또 날마다 새로워야 한다.
<「대학」>
• 이를 어찌하나, 이를 어찌할 것인가, 하지 않는 자는 나도 이를 어찌할 수 없다.
<공자,「논어」,BC 551~BC 479>
• 식욕 없이 먹는 것이 건강에 해로운 것처럼,
욕망이 따르지 않는 공부는 기억을 상하게 한다.
<레오나르도 다빈치,「수기」,1452~1519>
• 하나를 듣고 열을 안다.
<공자,「논어」,BC 551~BC 479>
• 알기만 하는 자는 좋아하는 자에게 미치지 못한다.
좋아하는 자도 그것을 즐기고 있는 자에게는 미치지 못한다.
<공자,「논어」,BC 551~BC 479>
• 자식을 불행하게 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
언제나 무엇이든지 손에 넣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.
<루소,「에밀」,1712~1778>
'문학 작품' 카테고리의 글 목록
다양한 문학, 수필, 어문들을 소개합니다!
gardenofbook.tistory.com
'명언 모음' 카테고리의 글 목록
다양한 문학, 수필, 어문들을 소개합니다!
gardenofbook.tistory.com
해당 콘텐츠는 공유마당의 공공저작문인 교육 (한국저작권위원회 엮음)를 활용하였습니다, CC BY
댓글